No.31 아토믹스

한식당으로 오픈런하는 뉴요커들아토믹스(Atomix) K푸드가 글로벌 시장에서 심상치 않은 바람을 일으키고 있어요. CJ의 비비고 만두가 글로벌 매출 1조원을 넘어섰고요, 그중 40% 이상이 미국 점유율이라고 하죠. 하버드 경영 대학원에서는 CJ의 K푸드 세계화 사례를 교재로 채택할 정도로 K푸드 열풍에 주목하고 있어요. 만두뿐 아니라 불닭볶음면, 냉동 김밥도 무서운 속도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죠. 글로벌 시장으로 출격 준비 중인 K푸드도 많아서 앞으로가 더 기대 되고요. 외국 유튜버들의 불닭복음면 챌린지 대중적인 K푸드만 날개를 달고 있는 건 아니에요. 최근, 파인 다이닝으로서 한식의 인기도 대단하거든요. 전 세계 셀럽들에게 인기 있는 레스토랑 중 하나가 바로 뉴욕의 모던 한식당 ‘아토믹스(Atomix)’에요. 영국의 ‘윌리엄 리드’ 미디어가 선정하는 ‘월드 50 베스트 레스토랑’은 미식계의 오스카상으로 통한다고 하는데요, 아토믹스는 여기서 2023년 북미 지역 1위, 전 세계 8위를 차지했어요.지난 20년간 단 한 번도 명단에 오른 한식당이 없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아토믹스가 단숨에 미국 내 1위를 했다는 것은 정말 놀라운 일이죠. 게다가 고객서비스 부분 특별상인 ‘최고의 응대상’도 받았어요. 미쉐린 2 스타, 뉴욕 타임즈 별 3개 등급에 선정되기도 했고요. 아토믹스 메뉴 아토믹스는 어떻게 까다로운 뉴요커들의 입맛을 사로잡았을까요? 우선 이곳의 히스토리를 살펴볼게요. 아토믹스를 운영하는 박정현 셰프는 한국의 파인 다이닝 한식 레스토랑인 ‘정식당’에서 일한 경력이 있어요. 정식당의 뉴욕점인 ‘정식’ 오픈을 위해 뉴욕으로 건너간 것이 계기가 되어 2016년에는 직접 캐주얼 다이닝인 ‘아토보이(Atoboy)’를 창업하게 되죠. 아토보이에서 한식의 가능성을 보게 된 박정현 셰프와 그의 아내 박정은 대표는 2018년에 한식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인 아토믹스를 오픈해요. '한국 문화를 글로벌 문법으로 번역해 전달’해보자는 목표를 가지고요. 아토믹스 내부 공간 아토믹스는 편견 없이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한식을 재해석했어요. 고추장 샐러드와 김부각, 창난젓, 청포묵, 청국장, 보리굴비, 가자미 식혜, 막걸리 아이스크림 등 전통적 재료를 적극 활용하고 메인 요리에 밥과 반찬을 곁들이는 구성으로 한국적인 식문화를 보여주죠. 메뉴에 한국어 발음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재미있는 포인트예요. 쑥(Ssuk), 된장(Doenjang), 전(Jeon), 국(Guk), Jorim(조림), 입가심(Ipgasim), 후식(Husik) 등 외국인에게 생소하지만 그래서 더욱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방식으로요. 아토믹스는 낯선 메뉴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메뉴 카드’를 활용하는데요, 마치 미술관에서 작품 설명을 하는 것처럼 식재료에 대한 정보와 요리의 의미, 셰프의 영감, 문화적 맥락 등을 카드로 쉽게 설명하고 있어요. 간결한 기하학 문양이 그려진 카드는 식사를 마치고 돌아가는 고객들에게 선물로 활용하고요. 메뉴 카드 경쟁이 치열한 미식의 도시인 뉴욕에서 아토믹스가 주목받게 된 이유는 독창적인 맛뿐만이 아니에요. ‘최고의 응대상’을 받을 만큼 이곳의 고객 경험 설계는 특별해요. 아토믹스는 맨해튼의 조용한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어요. 공간을 만들 때부터 ‘숨겨진 레스토랑’, ‘지인의 집에서의 식사’라는 콘셉트로 기획했죠. 좌석 수는 14개뿐. 그러나 식사는 음식의 향연 그 자체예요. 계절별로 바뀌는 창의적인 음식, 섬세한 플레이팅 그리고 음식과 음식 사이에 제공되는 메뉴 카드로 다음 음식에 대한 기대감을 더해주고, ‘ㄷ자’ 형태의 바 테이블에서 서버들은 사려 깊은 서비스를 제공해요. 아토믹스의 테이블웨어는 모두 한국의 공예작가들의 작품이에요. 작가들의 개성 있는 젓가락을 선택할 수도 있는 것도 디테일한 경험 설계라고 볼 수 있죠. 최고의 미각, 분위기, 한국 식문화의 뿌리를 경험할 수 있는 재료와 식기, 사적인 서빙, 메뉴 카드를 활용한 응대 등 이 모든 것이 합쳐져 뉴요커들에게 한식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고 있어요. 아토믹스의 가격은 한화로 1인당 약 53만원(*2024년 기준 395달러)이지만 매월 1일 예약이 오픈하면 10분만에 두 달 치 예약이 마감된다고 하니 말 다했죠. 2022년에는 록펠러 센터의 제안으로 한식 파인다이닝인 ‘나로(Naro)’도 오픈했어요. 뉴욕은 전통적으로 프랑스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이 강세였지만 이제는 한국 레스토랑이 그 자리를 꿰찼죠. 세계적인 아트북 출판사인 ‘파이돈’에서 21세기 현재 한국인이 즐겨 먹는 음식을 소개하는 ‘The Korean Cookbook’을 출간했고요, 미국의 시사 주간지 ‘더 뉴요커’는 ‘한국 레스토랑은 어떻게 뉴욕의 파인 다이닝 지도를 재정립했을까? (How Korean Restaurants Remade Fine Dining in New York?)’라는 타이틀의 기사를 내기도 했죠. 아토믹스의 사례를 보면 한식의 저력을 실감하게 돼요. 앞으로 한식은 어디까지 갈까요? The Korean Cookbook 도시의 맥락 읽기, 마블로켓 어반 리서치 +Editor's Pick : 한국 요약 금지 / 콜린 마샬 저 뉴요커의 시선으로 본 한국은 어떨까요? 시사 주간지 ‘더 뉴요커’의 칼럼니스트인 콜린 마샬은 한국이라는 나라를 '김치의 나라', '삼성의 나라', 'K-pop의 나라'로 쉽게 규정짓지 말라고 강조해요. 한국의 복잡다단한 현실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의 변화 속도는 굉장히 빠르기 때문이죠. 10년 넘게 서울에서 거주하며 한국인의 삶을 면밀히 관찰한 콜린 마샬의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카카오톡 친구추가로 매주 목요일 노트를 받아보세요!https://pf.kakao.com/_xfQxbpxj/friend 레퍼런스&이미지 출처:https://www.atomixnyc.com/https://www.eater.com/2019/1/2/18146505/atomix-nyc-korean-restaurant-menu-arthttps://www.nytimes.com/2023/08/29/dining/korean-fine-dining-restaurants-nyc.htmlhttps://www.latimes.com/food/story/2024-03-28/korean-dining-in-new-york-featurehttps://www.theworlds50best.com/list/1-50https://www.eater.com/2019/1/2/18146505/atomix-nyc-korean-restaurant-menu-art

마블로켓

logo
LOG IN 로그인
  • Magazine
    • Urban Research
      • Shop
        • City
          • About
            • Magazine
              • Urban Research
                • Shop
                  • City
                    • About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마블로켓

                      logo

                      마블로켓

                      logo
                      • Magazine
                        • Urban Research
                          • Shop
                            • City
                              • About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마블로켓

                                logo

                                마블로켓

                                logo
                                카카오톡
                                네이버 블로그
                                Terms of Use
                                Privacy Policy
                                Confirm Entrepreneur Information

                                Company Name: (주)마블로켓 | Owner: 서은숙 | Personal Info Manager: 서은숙 | Phone Number: 010-6221-2651 | Email: chloe@marblerocket.com

                                Address: 서울시 마포구 독막로 28길 10 109동 B101-7 |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716-86-03144 | Business License: 제 2023-서울마포-1452 호 | Hosting by sixshop

                                floating-button-img